안녕하세요, 미국 주식 시황을 알려드리는 백련산넷돌이입니다. 지난주 금요일 밤 미국증시는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 했으며, 나스닥은 2% 넘게 상승 했습니다.
오늘은 월요일이여서 주말 사이에 나온 뉴스들을 모아 봤습니다. 첫번째 뉴스는 " 트럼프가 다시 쓰는 코스피 시총 순위"입니다. 3월말과 4/11일 기준 코스피 시총 순위가 바뀌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HD현대중공업이 Top 10에 새로 진입 했습니다. 방산주는 트럼프의 관세 전쟁에서 한발 비켜 서 있으며, 조선주 섹터는 트럼프 대통령의 수혜주이기도 합니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577165
트럼프가 다시 쓰는 코스피 시총 순위
이달 들어 미국발 관세 리스크에 증시가 요동친 가운데 시가총액 순위에도 변동이 나타났다.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을 덜 받는 종목들의 순위가 오른 반면 관세 피해주들은 주가 하락으로 순위
n.news.naver.com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1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셀트리온과 기아를 제치고 유가증권시장 시총 6위에 올랐다. 지난달 말 10위에서 이달 초 8위를 꿰찼던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최근 이틀 연속 5%대 상승세를 지속, 시총 순위를 두 계단 끌어 올렸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방산주들은 관세 영향을 덜 받는 무풍지대로 평가받으면서 양호한 주가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최근 유상증자 규모 축소로 투자심리가 개선되며 주가가 탄력을 받았다. 이달 들어 16% 넘게 올랐다. 앞서 지난 8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유증 규모를 당초 3조6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축소한다고 공시했다. 축소된 1조3000억원은 한화에너지,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싱가폴 등 3개사가 참여하는 제3자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동호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유증 구조가 주주배정과 제3자 배정으로 변경돼 증자비율과 희석율이 축소된 점이 긍정적"이라며 "유증으로 인한 주주가치 희석에도 불구, 견조한 실적과 연초부터 이어진 유럽 재무장 랠리에 글로벌 방산업체 멀티플이 올들어 평균 54% 상승한 효과를 고려해 목표주가를 94만원으로 기존 대비 40.3% 상향 조정했다"고 말했다.
HD현대중공업은 시총 9위로 올라서면서 10위권에 재진입했다. 지난해 말 10위에 올랐던 HD
현대중공업은 2월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자리를 내주고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11위에 머물러 있던 HD
현대중공업은 지난 11일 주가가 5.7% 오르면서 KB금융, 네이버(NAVER)를 제치고 9위에 올라섰다.
HD현대중공업은 이달 들어 22.32% 상승했다. 특히 지난 11일에는 트럼프가 주가를 밀어올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각료회의에서 "우리는 조선업을 재건할 것"이라면서 "의회에 (선박 구매자금을) 요청해야 할 수도 있지만, (미국과) 가깝고 조선 실적이 훌륭한 다른 나라에서 선박을 구매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날 조선주들의 주가가 강세를 보였다.
두번째 뉴스는 "美 상호관세, 반도체·스마트폰·컴퓨터 등 제외"…애플·삼성전자 등 안도(종합)" 입니다. 트럼프의 상호 관세에 반도체와 스카트폰, 컴퓨터등과 같이 특정 제품에 대한 상호 관세 제외 지침을 발표 했으며, 4/2일 발표된 상호 관세 대상에서 제외 한다고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하는 ‘상호 관세’에 반도체와 스마트폰, 컴퓨터 등이 제외됐다고 미 CNBC 방송이 12일 보도했다.
삼성전자가 직접 혹은 베트남 생산을 통해 미국으로 수출한 것으로 주력품인 반도체와 스마트폰이 포함됐다. 삼성전자는 대미 메모리 반도체 수출은 물론 스마트폰의 40~50% 정도를 베트남에서 생산하는데 베트남의 상호 관세율은 46%였다.
국토안보부 산하 세관국경보호국이 11일(현지 시각) 공개한 ‘특정 제품에 대한 상호 관세 제외’ 지침에 따르면 스마트폰, 노트북, 모니터, 반도체 등이 2일 발표된 상호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다.
새로운 관세 지침에는 반도체, 태양 전지, 평면 패널 TV 디스플레이, 플래시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데이터 저장에 사용되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등 기타 전자 장치 및 구성 요소에 대한 제외 사항도 포함되어 있다고 CNBC 방송은 전했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은 2일 국가별 상호 관세를 발표하면서 반도체와 목재 등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별도로 개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날 발표로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에 각각 25% 개별 품목별 관세가 부과된 것과 같은 관세 부과 방침이 바뀐 것인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이번 지침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125% 상호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나온 것으로 중국에서 스마트폰의 대부분을 생산하는 애플 등 기술 기업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나왔다고 CNBC 방송은 전했다.
애플은 세계 최대 기업이자 미국을 대표하는데다 미국 소비자들의 물가 상승 체감도도 높아지는 등 여러 측면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애플은 중국에서 아이폰 물량의 90%를 생산한다. 이번 조치로 애플 아이폰은 중국에서 생산해도 관세 적용을 받지 않게 됐다.
출처: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412_0003136843
"美 상호관세, 반도체·스마트폰·컴퓨터 등 제외"…애플·삼성전자 등 안도(종합)
[서울=뉴시스] 구자룡 기자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하는 ‘상호 관세’에 반도체와 스마트폰, 컴퓨터 등이 제외됐다고 미 CNBC 방송이 12일 보도했다.삼성전자가 직접 혹은 베트남 생산을
www.newsis.com
3번째 뉴스는 2번째 뉴스의 후속 기사입니다. 美상무 "반도체 관세 한 달 내, 의약품은 한두 달 내 발표" 기사 입니다. 반도체 품목에 대한 관세 제외 조치 이후 한달 이내에 미국내 생산을 장려 하기 위한 관세 모델이 발표 예정이며, 여기에 의약품에 대한 관세 정책 부분도 발표 예정입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13일(현지시간) 스마트폰, 컴퓨터 등 전자제품 관세 관련 "이러한 모든 제품은 반도체 제품에 속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제품은 각국에 부과하기 시작한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 바 있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언급한 뒤 "이러한 제품들이 안심하고 사용될 수 있도록 특별하게 집중된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반도체가 활용되는 첨단 전자제품에는 향후 발표할 반도체 품목별 관세에 적용될 것이라는 취지로 풀이된다.
앞서 미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지난 11일 밤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통해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제외 대상에 포함됐다고 언급했다.
러트닉 장관은 '컴퓨터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이 일시적으로 면제되지만, 한 달 정도 후에 다른 형태로 다시 부과될 것이라는 말인가'라는 질의에 "맞다. 반도체와 의약품은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기 위한 관세 모델이 적용될 것"이라고 거듭 확인했다.
러트닉 장관은 품목별 관세 발표 시점에 대해선 "(전자제품은) 아마 한 달 정도 후에 적용될 반도체 관세에 포함될 것"이라고 했다. 또 "이 두 가지 분야(반도체·의약품)는 다음 달 또는 그다음 달에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2일 플로리다주 팜비치에서 마이애미로 이동하는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기자들과 잠깐 만나 반도체 품목별 관세에 대해 "우리는 매우 구체적일 것"이라면서 "14일에 그에 대한 답을 주겠다"고 말했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205592
美상무 "반도체 관세 한 달 내, 의약품은 한두 달 내 발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13일(현지시간) 스마트폰, 컴퓨터 등 전자제품 관세 관련 "이러한 모든 제품은 반도체 제품에 속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제품은 각국에 부과하기 시작한
n.news.naver.com
이상으로 오늘 글은 이만 마치며, 마무리 짤은 벚꽃 풍경 사진입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미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근길뉴스] 4/15일 (현지 시간 기준) 미국 증시 및 엔비디아 이야기 (3) | 2025.04.16 |
---|---|
[출근길뉴스] 4/14일 (현지 시간 기준) 미국 증시 및 알리바바 이야기 (0) | 2025.04.15 |
[출근길뉴스] 4/10일 (현지 시간 기준) 미국 증시 및 미중 무역 전쟁 이야기 (1) | 2025.04.11 |
[출근길뉴스] 4/9일 (현지 시간 기준) 미국 증시 및 트럼프 PUT 이야기 (1) | 2025.04.10 |
[출근길뉴스] 4/7일 (현지 시간 기준) 미국 증시 및 레딧 주가, 상호 관세 이야기 (2)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