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국 주식 정보를 알려주는 백련산넷돌이입니다. 오늘은 일요일 쉬는 날이지만, 구립 도서관에서 기사를 읽다가 괜찮은 기사를 하나 공유 합니다.
올해 1분기 국내 500대 중견기업의 영업이익이 16.6%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매출 기준 500대 중견기업 중 16일까지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496곳을 대상으로 1분기 실적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영업이익은 총 2조948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6% 늘었다.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57조504억원으로 집계됐다.
CEO스코어는 “경기 침체 장기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허리띠를 졸라매는 긴축 경영을 통해 불황 속 수익성 개선에 성공했다”고 분석했다. 업종별로 보면 전체 13개 업종 중 9개 업종의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IT 전기·전자 업종의 영업이익 증가 폭이 가장 컸다. IT 전기·전자 부문은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 3352억원에서 올해 1분기 5617억원으로 증가했다.
식음료 부문의 실적도 지난해 1분기 741억원에서 올해 1분기 1699억원으로 크게 개선됐다.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 인기로 영업이익을 200% 이상 끌어올렸다.
서비스(31.1%↑)와 건설·건자재(42.2%↑), 석유화학(13.3%↑), 생활용품(17.1%↑) 등도 영업이익이 늘었다.
반면 의료기기와 철강 등은 부진했다. 의료기기의 경우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259억원에 그치며 전년 동기 대비 66.7% 급감했다. 엔데믹(풍토병화)으로 진단키트 개발업체들의 수익성이 줄었기 때문이다.
건설경기 악화, 완성차 수요 위축 등의 직격탄을 맞은 철강·금속·비금속 부문의 영업이익도 27.3% 감소했다. 제약·바이오(13.0%↓), 운송(19.6%↓) 등의 영업이익 역시 줄었다.
기업별로는 삼양식품의 1분기 영업이익이 8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5.8% 급증했다. 특히 해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3% 상승한 2889억원을 기록하며 1분기 실적을 견인했다.
롯데관광개발도 외국인 전용 카지노 사업 호조로 올해 1분기 영업이익 88억원을 내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올해 1분기 영업손실 106억원으로 전년 동기(-1238억원)와 비교해 적자가 큰 폭으로 개선됐다. 대유에이텍(흑자 전환), 톱텍(흑자 전환), 서진시스템(396.3%↑) 등도 영업이익이 늘었다.
영업이익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기업은 오상헬스케어였다. 오상헬스케어는 1분기 영업손실 51억원으로 전년 동기(1556억원) 대비 적자 전환했다.
휴스틸(73.2%↓), 와이지엔터테인먼트(적자 전환), 차바이오텍(적자 전환), 삼부토건(적자 전환) 등도 영업이익이 축소됐다.
영업이익이 증가액 기준 상위 10개 회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중에서 1년전 23년 1분기 대비 증가율이 높은 회사는 삼양식품, 서진시스템, 제이앤티씨, 파라다이스가 있습니다. 특히 삼양식품은 시총이 3조가 넘지만, 불닭볶음면의 글로벌 히트로 24년 1분기 실적이 3배 이상 증가 했으며, 지난주 금요일에 상한가까지 갔습니다.
30만원일때도 비싸다고 생각했는데, 어느새 44만원대까지 달리다니 정말 주가가 맵네요.
그래서 제2의 삼양식품으로 ESS 를 주력하고 있는 서진시스템을 조금 찾아 봤습니다.
알루미늄을 이용해 에너지저장장치(ESS), 통신장비, 전기차, 반도체에 들어가는 부품을 만드는 서진시스템(178320)은 지난해 매출 7777억원, 영업이익 573억원을 기록했다. 작년 4분기를 기점으로 ESS 사업 부문 성장이 본격화해 올해 매출은 사상 처음 1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064850)에 따르면 서진시스템은 올해 매출 1조2727억원, 영업이익 1401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1996년에 설립된 서진시스템은 제품의 원재료 가공 및 후처리 공정 기술을 내재화하고 있다. 2015년 텍슨을 인수하며 시스템 설계 역량도 강화했다. 회사는 베트남의 약 83만㎡(약 25만평) 부지 공장에 매출액 기준 2조5000억원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서진시스템은 통신장비에서 시작한 사업을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ESS 등으로 다변화했다. 이 중 주력 제품은 ESS다. ESS 케이스, 패널, 통신선, 각종 기자재 등 배터리를 제외한 핵심 부품을 모두 생산한다. 고객사가 원하는 물건을 대신 생산해 주는 주문자상표부착(OEM) 방식이다.
서진시스템은 2021년 글로벌 1위 ESS 업체 플루언스(Fluence)에 납품을 시작했고, 작년 4분기부터는 포윈(Powin)이라는 신규 고객사를 추가로 확보했다. 이에 따라 2021년 1305억원이었던 ESS 사업 매출은 지난해 2745억원으로 늘었고 올해는 5298억원으로 예상된다.
조정현 하나증권 연구원은 “작년 4분기 ESS 사업의 성장성이 확인되면서 올해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수요가 주춤한 전기차와 달리 ESS는 안정적·효율적인 에너지 수급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필수 수단으로 주목받으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 기관 블룸버그NEF에 따르면 2021년 110억달러(약 14조5000억원) 수준이었던 글로벌 ESS 시장은 2030년 2620억달러(약 345조5000억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서진시스템의 20년부터 매출이 증가하다가 23년 정체 했지만, 24년 부터는 ESS 제품 매출 확대로 1.2조 매출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주가도 올해 1.8만원대에서 2.5원대까지 상승 했습니다. 최근 주가가 2.7만원까지 급등 했지만, ESS 사업부를 인적 분할 이후 코스닥 상장규정에 따른 문제가 생기면서 결국 인적분할은 취소 하면서 주가가 2.5만원대까지 내려왔습니다.
글로벌 ESS 시장은 매년 성장중이며, 23년부터 2030년까지 폭발적으로 시장이 증가할 전망입니다.
그리고, 고객사인 플루언스 에너지 수주잔고가 높고 매출액이 증가 하고 있습니다.
24년 1분기 실적도 어닝 서프라이즈로 분기 쵇 매출인 3257억원에 영업 이익 433억원입니다. 시장 예상치보다 44.2% 급등 했으며, 유진 증권사는 목표가를 3.6만원 상향 조정 했습니다.
2Q전망도 좋습니다. 예상 매출 3300억원에 영업 이익 335억원 전망입니다.
경쟁 회사로는 최근 한국 타이어가 인수한 자동차 부품기업 한온시스템, 반도체패키징 기업 에스에프에이, 2차전지 기업 신흥에스이씨가 있습니다.
이상으로 오늘 글은 이만 마치며, 내일 척후병을 보내서 좀 더 장기적인 관점으로 주가를 지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출처: https://news.stockplus.com/m?news_id=13326991
증권플러스
news.stockplus.com
출처2: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4/03/16/D7THLIYHVZGCLML3C4GCH7JBRE/?outputType=amp
[중견기업 해부] ESS·배터리로 매출 1조원 노리는 서진시스템
중견기업 해부 ESS·배터리로 매출 1조원 노리는 서진시스템 1위 ESS 업체에 납품, 4분기부터 성장 올해 ESS 매출만 5000억원 넘을 전망
biz.chosun.com
'한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근길뉴스][기사 공유] 올 들어 韓 증시 거래 절반이 ‘단타’였다[투자360] (0) | 2024.06.17 |
---|---|
[출근길뉴스][기사공유] "셀 인 메이 맞았네" 씁쓸한 개미…AI 꽂힌 외국인 '미소' (1) | 2024.06.03 |
[출근길뉴스][기사 공유] "이번에는 K푸드"…음식료株의 질주 (0) | 2024.05.27 |
[출근길뉴스] [기사 공유] ‘140조 ETF 시장, 놓치면 끝장'...사활 건 운용사 (0) | 2024.05.13 |
[기사 공유][윤현주의 主食이 주식] "이곳에만 5억 몰빵, 7000만원 날렸네요"…직장인 '피눈물' (1) | 2024.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