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카카오페이증권 타사 주식 입고 이벤트 함정

반응형

 안녕하세요, 카카오페이증권에서 타사 주식을 입고 하는 경우 최대 180만원을 주는 이벤트가 진행 중입니다. 저도 늦었지만, 아침에 이런 이벤트가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런데, 이 이벤트는 겉으로는 최대 180만원을 준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손해를 봅니다. 우선 카카오페이증권 이벤트가 무엇인지 보겠습니다.  다른 증권사에 있는 계좌의 주식을 카카오페이증권으로 이체를 하면 이벤트 금액을 입금 해준다고 합니다.

기간은 24년 1월12일~4월 12일까지 입니다. 해외주식은 1천만원당 2만원이고, 국내주식은 1천만원당 1만원입니다.
국장의 개미들은 일단 차별하고 해외 주식을 보유한 사람을 더 우대 하네요. 그런데, 여기서도 첫번째 함정이 저의 해외주식 메인 계좌는 미래에셋입니다. 국내주식 이체는 HTS 또는 미래에셋증권앱을 통해서 가능 하지만, 해외주식은 평일 시간에 영업점을 가야 합니다. 직장 근처에 영업점이 없는 경우는 반차를 사용 하고 가면 오히려 손해를 보는 경우이죠. 그래서 앱에서 편하게 할려면 국내주식만 이체가 쉽네요. 여기서 일단 만원을 손해 봅니다.

2번째로 타사 주식이 입고가 되고 나서 다른 주식을 매수/매도 하여 누적 거래 금액이 30억이면 최대 6배까지 이벤트 금액이 증가 합니다.

 아래 예시 처럼 국내주식 1천만원, 해외 주식 1천만원을 이체 후 다른 주식 매수/매도 거래금액이 1억원 이상인 경우 최대 4배를 받을 수 있는데, 계산 식인 (2만원 +1만원)*4배= 12만원의 이벤트 금액을 5/31(월)일 지급 받습니다. 여기까지 보면 왠지 솔깃 합니다. 물려서 코자고 있는 주식들(1천만원어치)를 이체 하고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ETF 3/22일 종가 기준 1주당 103만원짜리 ETF 를 100주 매수 매도 하여 거래 금액을 1억원 만들면 왠지 12만원 벌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우선 두번째 함정은 아래 이벤트 혜택금액이 5만원 초과시 제세공과금 22%가 제외한 금액이 입금 됩니다. 즉 12만원이 세금 공제후 9만 3600원이 입금 됩니다. 이 것만 봐도 9.3만원을 벌 수 있으니깐 괜찮은 금액 아니냐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세번째 함정은 주식 매도시 세금입니다. 거래 수수료는 증권사별 차이가 있지만, 매매 관련 세금은 어느 증권사이던 공통으로 내야 하며 코스피인 경우 매도금액의 0.18%입니다. 1억원 어치 주식을 매도 하게 되면 세금만 18.5만원을 내야 합니다.

 
아래가 주식 수익률 계산기를 이용해서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ETF 3/22일 종가 기준 1주당 103만원 * 100주를 매수하고 매도 시 세금입니다. 무려 18.5만원 세금이 지출 되니깐 이벤트 금액 9.3만원을 카카오페이증권으로 부터 받아도 손해가 발생 합니다.

그래서 엑셀 놀이를 다시 해봤습니다. 우선 제가 보유중인 미래에셋 증권에서 4천만원 어치 주식을 카카오페이로 이체하고, 마통에 있는 돈 1.5억을 가지고 거래금액 1억, 10억, 30억까지 했을 경우 받을 수 있는 이벤트 입금액과 매도후 수수료, 이자, 세금 공제후 최종 금액이 얼마인지 시뮬레이션을 해봤습니다. 거래 대상 주식은 비교적 변동폭이 적은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ETF 1주당 103만원짜리 기준입니다. 시뮬레이션을 해본 결과 거래 금액이 5천만원 부터는 모두 손해입니다. 그나마 손해가 없는 경우는 1천만원어치만 거래 하여 국내주식 4천만원 입고시 받는 4만원*2배= 8만원일때 수수료 및 세금을 제한 경우 3.7만원 치킨 1마리 반을 사먹을 수 있겠네요.

 

아니 주식 이체 시 최대 180만원까지 준다고 해놓고, 6배를 받기 위해서 거래금액 30억원어치 매수 매도 하면 오히려 세금이 늘어나는 이상한 이벤트 아닌가요? 오히려 거래금액이 1천만원인 경우만 손해를 보지 않는 구조입니다. 애초에 180만원은 줄 생각을 하지 않고 만든 이벤트 인 것 같습니다. 

 

 

***글 수정****
 다른 분들이 댓글로 지적한 것과 같이 국내 주식형 ETF는 거래세금이 없네요. 따라서 위에 도표로 제가 만든 테이블내 거래세금은 없습니다. 다만, 해외 지수형 ETF 및 레버리지 ETN 인 경우 이익에 대한 과세로 분배금 15.4% 가 있네요.

그래서 엑셀놀이를 다시 해봤습니다. 매도세금을 제하더라도 거래수수료는 0.015% 여서 10억원이상 거래를 하는 경우 오히려 손해가 발생합니다. 적절하게 하기 위해서는 국내주식 4천만원을 이체 후 거래 금액 5천만원을 만들어서 하게 되는 경우 세금 제하고 6.1만냥 버네요. 그렇다고 하더라도 주거래 증권사(미래에셋)에 있는 주식을 이체 하기는 아깝네요. 현재는 미래에셋인 경우는 5년간 한시적으로 거래수수료가 면제여서 굳이 옮겨야 하나 살짝 고민이네요.


 
 

반응형